검색

Funerale Papa Francesco Funerale Papa Francesco  (ANSA)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

4월 26일 10시, 성 베드로 대성전의 축성단(Sagrato)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가 거행된다. 추기경단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이 주례할 교황의 장래미사는 추기경, 주교, 사제를 포함한 980명의 공동 집전자가 함께한다. 제대 앞에는 선종한 교황이 사랑했던 ‘로마 백성의 구원자(la Salus Populi Romani)’이신 성모님의 성모 성화가 모셔진다.

Vatican News

 

4월 26일 오전 10시, 성 베드로 대성전 앞마당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래미사가 거행된다. (장례 미사 말미에) 교황은 그리스도의 제자이자 사목자로서 고별식이 이어진다. 이 장례 예식은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대한 교회의 신앙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장례미사는 교황이 원했던 간소화된 형태로 2024년 개정된 「교황 장례 예식서」(Ordo Exequiarum Romani Pontificis)에 따라 라틴어로 집전되며 추기경단 단장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이 주례한다. 성 베드로 성상이 있는 앞마당 오른쪽에는 추기경, 주교, 사제를 포함한 980명의 공동 집전자와 200명의 성찬봉사자, 4000명이 넘는 사제가 자리한다. 신자들을 위한 225개의 성합이 준비됐고, 사제들을 위해 80개의 성작과 같은 수의 성합이 준비됐다. 제대 앞 오른편에는 ‘로마 백성의 구원자(la Salus Populi Romani)’이신 성모님의 성모 성화가 모셔진다.

신자들이 바치는 6가지 기도는 프랑스어, 아랍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독일어, 중국어로 낭독되며, 영성체 후에는 고인의 영혼을 성인들의 영광스러운 친교로 맞이해 달라는 하느님께 드리는 마지막 청원 기도(Última commendatio)가 이어진다. 이어 장례 예식의 작별 예식인 고별식이 진행되며 이는 장례 예식 중 마지막 인사로 로마 교회의 의탁 기도에 이어 로마교구 총대리 발다사레 레이나 추기경의 기도가 이어지며, 동방 교회의 의탁 기도와 안티오키아 멜키트-그리스 동방 가톨릭 유세프 압시 총대주교의 기도가 그리스어로 이어진다. 장례 예식 말미에 레 추기경은 교황의 관에 성수를 뿌리고 향을 피운다. 이어 교황의 관은 성 베드로 대성전으로 운구되고 그곳에서 흰색 운구차에 실려 장례 행렬과 함께 안장을 위해 성모 대성전으로 이동한다. 장례 행렬은 페루지노 문을 통해 바티칸 시국을 빠져나와 프린시페 아메데오 디 사보이아-아오스타 터널을 지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경로를 따라 진행된다. 교황의 운구차는 베네치아 광장에서 포리 임페리알리 거리로 진입해 콜로세움에 도착한 후 라비카나 거리와 메룰라나 거리를 따라 성모 대성전 광장에 도착한다.

 

성모 대성전 측면에 위치한 (성 프란치스코 제대 근처) 파올리나 경당(로마 백성의 구원 경당과 스포르차 경당 사이에 위치한 무덤에 안장되기 앞서 4개의 시편이 낭송되며 5번의 청원기도가 이어진다. 이어 '주님의 기도'(Padre Nostro)가 바쳐진다. 마지막 기도가 끝난 후, 프란치스코 교황의 유해가 안치된 관에는 거룩한 로마교회의 궁무처장 케빈 조셉 패럴 추기경, 교황궁내원, 교황전례원, 성모 대성전 의전 사제단장의 봉인이 찍힌다. 이어 교황의 유해가 담긴 관은 무덤에 안치되고 ‘레지나 첼리’(부활 삼종기도. 성모 찬송가)가 울려 퍼지는 동안 성수가 뿌려진다. 이어 하관예식 마지막 절차로, 성모 대성전 의전사제단의 공증인이 안장을 증명하는 공증서를 작성하여 참석자들에게 낭독한다. 이 문서에는 거룩한 로마교회의 궁무처장 케빈 조셉 패럴 추기경, 교황궁내원 의전 담당 레오나르도 사피엔자 몬시뇰, 교황전례원장 디에고 조반니 라벨리 대주교,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증인이 서명한다.

참석 국가
교황의 장례식에는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대표단이 참석한다. 의전 절차에 따라, 먼저 군주 국가들로 안도라, 벨기에, 덴마크, 아랍에미리트, 스페인, 요르단, 레소토,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모나코, 몰타 기사단, 스웨덴 등 총 12개국 대표단이 참석한다. 이어 국가 원수가 참석한 나라로 알바니아, 독일, 앙골라, 아르메니아, 호주, 오스트리아, 벨리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브라질, 캐나다, 카보베르데, 키프로스, 중앙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크로아티아, 에콰도르, 에스토니아, 미국, 핀란드, 프랑스, 가봉, 조지아, 온두라스,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케냐, 라트비아, 레바논, 리투아니아, 북마케도니아, 마다가스카르, 몰타, 몰도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필리핀, 폴란드, 포르투갈, 도미니카 공화국, 루마니아, 산마리노, 세이셸, 시에라리온,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위스, 동티모르, 토고, 우크라이나, 유럽연합 등 총 53개국 대표단이 참석한다.

또한 노르웨이와 영국과 북아일랜드 왕세자들이 포함된 대표단, 그리고 안도라, 방글라데시, 벨기에, 불가리아, 그리스, 룩셈부르크, 모로코, 뉴질랜드, 팔레스타인, 네덜란드, 카타르, 영국과 북아일랜드, 세르비아, 스위스, 체코의 정부 수반이 등 총 15개국의 대표단이 참석한다.

콜롬비아 대통령의 배우자가 포함된 대표단과 부룬디, 쿠바, 엘살바도르, 적도기니, 탄자니아, 짐바브웨의 국가 부통령 6개국 대표단, 스페인, 에스와티니, 멕시코의 부총리와 함께하는 3개국 대표단,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칠레, 나이지리아, 우간다, 파라과이,튀르키예의 국회의장이 참석한 7개국 대표단, 알제리, 부르키나파소, 일본, 말리, 몽골, 나미비아, 노르웨이, 페루, 남수단, 튀니지, 스리랑카, 우루과이, 베네수엘라, 잠비아의 외무장관을 포함한 14개국 대표단이 참석한다.

유엔, 유럽평의회, 국제농업개발기금(IFAD), 세계식량계획(WFP), 국제노동기구(ILO), 세계보건기구(WHO), 유엔난민기구(UNHCR), 국제이주기구(OIM),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등 9개 국제기구 대표단도 참석한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메룬, 대한민국,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아랍에미리트, 과테말라, 이란, 키르기스스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러시아 연방, 세네갈, 싱가포르, 시리아, 차드, 태국의 장관들이 참석한다.

바하마,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아이티,이스라엘, 자메이카, 쿠웨이트, 말라위, 니카라과, 미얀마, 파푸아뉴기니, 바누아투, 오만, 르완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대사들도 참석한다. 끝으로 감비아, 수단, 세인트키츠 네비스에서 온 인사들과 코소보와 베트남의 추가 대표단도 참석한다.

 

에큐메니칼 대표단
에큐메니칼 대표단 명단은 다음과 같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안티오키아 및 전 동방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예루살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모스크바 총대주교, 세르비아 총대주교, 루마니아 총대주교, 불가리아 총대주교청, 조지아 총대주교청, 키프로스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 알바니아 정교회,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정교회, 오흐리드 대교구, 미국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콥트 총대주교청, 안티오키아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 에치미아진 소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킬리키아 총대주교 소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헤도 정교회, 에리트레아 테와헤도 정교회, 시리아 말랑카라 정교회, 동방 아시리아 교회, 성공회 공동체, 국제 구가톨릭 주교회의, 세계 루터교 연맹, 세계 개혁교회 연맹, 세계 감리교 협의회, 발도파 교회, 세계 침례교 연맹, 세계 복음주의 연맹, 세계 교회 협의회, 구세군, 그리고 글로벌 크리스천 포럼이다.

타 종교 대표단
성 베드로 광장에는 유대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자이나교 대표들도 참석한다.


번역 박수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용시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고, 임의 편집/변형하지 마십시오)
 

28 4월 2025, 16:14